티스토리 뷰

반응형

사업장에 근무하는 근로자는 연차 유급휴가를 부여받을 자격이 있으며 사용하지 않은 연차에 대해 연차수당을 청구할 권리가 있습니다.  연차수당을 계산하기위해서는 근로자의 통상임금을 계산할 줄 알아야 하는데요 아래에서 같이 확인해보겠습니다.

[연차 수당이란?]

유급휴가를 직장인들이 일반적으로 연차라고 부르고 있으며 이는 근로기준법 제60조에 따라서 일정한 요건을 갖춘 근로자에게 부여되고 있습니다. 근로기준법에 따라 발생한 연차를 근로자가 1년 동안 사용하지 않게 되면 자동 소멸되며, 사용하지 못한 연차 유급휴가는 연차수당으로 대신 보상받을 수 있습니다. 

연차 수당?

※다만, 연차수당은 무조건 지급하는 것이 아닌 회사의 내부규정(연차휴가 사용촉진 여부)에 따라 지급여부가 달라집니다.

1. 연차휴가 사용 만료기간이 끝나기 6개월 전을 기준으로 10일 이내에 사용하지 않은 휴가일수를 알려주고, 사용자에게 서면으로 촉구하는 것

2. 위 1번을 진행하였음에도 불구하고 근로자가 사용 시기를 정하여 사용자에게 통보하지 않으면 연차휴가 사용 만료기간이 끝나기 2개월 전까지 서면으로 통보할 것 위 1번과 2번을 진행하였음에도 불구하고, 근로자가 연차휴가를 사용하지 않았다면 사용자는 미사용 연차수당을 지급하여야 하는 의무가 없습니다.

[연차 발생 기준]

연차 발생 기준 기준은 직장생활을 시작한 기간에 따라 1년 미만과 이상으로 2가지의 경우를 가지고 있습니다. 

1. 1년 미만 근속자

1년 미만 근무기간으로 퇴직을 한다면 월 개근 단위로 발생한 월말 후 연차를 수당으로 계산해야 합니다. 매월 개근 후 발생했던 연차를 사용하지 않았다면, 퇴직 시 남은 연차에 대해 수당을 청구하 수 있습니다.

연차 수당 1년 미만

2. 1년 이상 근속자

근무한 지 1년이 지났다는 가정으로 1년을 80% 이상 출근한 경우 15일의 연차가 발생합니다. 퇴직일이 1년을 넘은 시점이라는 15일의 연차 중 사용하지 않은 연차 휴무에 대해 수당을 청구할 수 있답니다.

연차 수당 1년 이상

[연차수당 계산방법]

통상적 연차수당 계산법 1일 통상임금 X 미사용 연차일수

※ 통상임금이란, 기본급, 각종 수당(직위수당, 직무수당, 가족수당, 기타 정기수당), 상여금을 말합니다. 회사 규칙에 의해 통상적, 일률적 지급이 되는 수당이라면 포함해야 합니다. 기본급과 각종 수당뿐만 아니라 상여금까지 포함되는 것이 원칙입니다.

연차 수당 계산법

1. 한 달 통상임금이 150만 원이라면, 시간당 통상임금 = 150만원 /209시간(주 40시간 기준 근로시간) = 7,177원 1일 통상임금 = 7,177원 X 8 (1일 근로시간) = 57,416원입니다.  미사용 연차일 수가 10일이라면 57,416원 X 10일 = 574,160원이 연차수당이 됩니다.

 

2. 월 급여가 280만 원이고. 1년간 받은 상여금이 240만 원이라면, 연차 8일에 대한 연차수당을 계산해보겠습니다. 월 급여 270만 원, 상여금 240만원(월 200,000원) -월 수령액 270만원 + 20만 원 = 290만 원

290만원 / 209시간 = 13,875원 (월 소정근로시간 209시간)  통상임금을 계산할 수 있습니다.

1일 통상임금=14,354원(시급) * 8시간(1일 근로시간) = 111,000원 →결과적으로 111,000원 * 8일 = 888,000원을 당해연도 연차수당으로 계산할 수 있습니다.

[연차수당 계산기]

www.nodong.or.kr/common_wage_cal  

 

노동OK

직장인의 노동문제 해결방법을 제공합니다.퇴직금, 통상임금, 연차휴가 계산부터 노동문제 상담

www.nodong.or.kr

노동 OK라는 웹사이트에서 확인이 가능합니다. 빈칸에 본인의 급여 정보를 입력하고 미사용 한 연차일 수를 입력하면 통상임금과 내가 받을 수 있는 연차수당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연차 수당 계산기
연차 수당 계산기

연말정산 소득공제하는 법

 

연말정산 소득공제 하는법

모든 직장인이라면 지나 칠 수 없는 12월의 월급 또는 오히려 세금을 더 가져가는 연말정산이 있습니다. 연말정산 소득공제는 까지 아직 조금 시간이 남았지만 그럴수록 필요한 것들을 더 준비

inroomscholar.tistory.com

DTI, LTV, DSR 계산기, 계산방법

 

DTI, LTV, DSR 계산기, 계산법 꼭 해보세요

최근 부동산 가격이 상승하여 자신의 돈으로 감당해낼 수 없는 사람들이 많아지며 내 집 마련을 위한 상품들을 많이 접하시고 계시지만 알아보면 볼수록 알 수 없는 용어들에 힘이 빠지실 텐데

inroomscholar.tistory.com

2020년 최저시급 계산기 (2021년 추가)

 

2020년 최저시급 계산기 (2021년 추가)

오늘은 최저시급에 따른 월급여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최저임금제도란? 최저임금제는 근로자에 대하여 임금의 최저 수준을 보장하는 제도로서 임금격차가 완화, 소득분배 개선 근로자의 생

inroomscholar.tistory.com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