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반응형
안녕하세요! 요즘 연금을 따로 가입하시는 분들도 많이 계시죠? 오늘은 직장인이라면 의무적으로 가입하는 국민연금 납입기간, 수령 나이에 대해 아래에서 확인해보도록 하겠습니다.
[국민연금 제도란?]
직장인이라면 의무로 가입하게 되는 정부 주체의 연금제도입니다. 납부한 보험료를 기초로 퇴직 후 나이가 들어 발생하는 사고, 병에 있어 기본적인 생활을 지원하기 위한 보장제도입니다. 그 외에도 직장에선 건강보험부터 고용보험, 산재보험과 함께 4대 보험을 구성하고 있습니다. 그중 오늘 국민연금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국민연금 대상자]
국민연금은 정부가 직접 운영하는 공적 연금제도입니다. 국민연금 대상자는 18세~60세 국내에 거주하는 국민 모두가 해당하며 월 소득의 9%를 사업주와 근로자 반씩 부담하여 납부하게 되는 제도입니다.
※ 공무원, 군인, 교직원 은별도의 기관에서 연금을 납입하여 대상에서 제외됩니다.
[국민연금의 종류]
국민연금에는 총 3 가지 종류가 있습니다. 노령연금, 유족 연금, 장애 연금이 있습니다. 오늘 소개해드릴 내용은 흔히들 생각하는 연금인, 노령연금에 해당하며 연금의 종유에 따라 지급기준 및 조건의 차이가 있습니다.
[국민연금 수령기준]
3가지 경우에 부합해야 합니다.
1. 최소 10년 이상 가입
2. 최소 55세부터
3. 소득이 없어야 합니다.
위경우에 한해서 연금을 수령하실 수 있습니다. ※ 60세 이상 65세 미만부터는 업무에 종사하면서도 수령할 수 있습니다.
[지급 금액]
가입 기간에 따라 금액이 다르습니다.
경우 첫 번째 1. 최소기간인 10년 이상 20년 미만 동안 가입한 경우 국민연금액의 절반인 50%와 부양가족 연금액을 받을 수 있습니다. ※ 수령은 60세부터 할 수 있습니다.
경우 두 번째 2. 국민연금에 20년 이상 가입한 경우는 60세부터 연금을 받으실 수 있습니다. 기본 국민연금액인 전액인 100%와 부양가족 연금액을 함께 받을 수 있습니다.
※ 최소 납입기간인 10년
추가로 국민연금에서 추후납부를 할 수 있는 제도가 존재하는데요 아래에서 알아볼까요
[국민연금 추후 납부 제도란?]
실직 등으로 연금보험료를 납부할 수 없었던 기간에 대해 추가 납부하여 수령액을 보다 많이 받을 수 있게 하는 제도입니다.
[자격 요건]
1. 연금보험료 납부예외 기간이 있는 경우.
2. 연금보험료를 1개월 이상 납부한 날 이후 무소득 배우자 등의 사유로 적용 제외된 기간이 있는 경우입니다.
[신청 방법]
홈페이지에 접속하신 후 공인인증서로 로그인 후 진행하실수 있습니다.
(www.nps.or.kr : 공인인증서 로그인) ○ 경로 : 전자민원 -> 개인서비스 -> 신고/신청 -> 추납보험료 납부 신청 -> 추납 희망기간, 납부방법, 자동이체 여부 입력 -> 확인서 동의란 체크 -> 신청하기 -> 접수 완료
1. [국민연금공단] 검색또는 주소 입력으로 접속해 주신 후 상단에 로그인 [전자민원 이용] 공인인증서 로그인을 클릭해줍니다.
2. 전자민원서비스에 들어오시면 아래와 같은 화면이 등장합니다. [신고/신청] 항목을 확인 후 클릭 해줍니다.
3. [추가 보험료 납부 신청]을 클릭하신 후 희망기간, 납부방법을 선택해주시면 됩니다.
내 연금 수령금액을 어떻게 확인할 수 있을까요?
국민연금공단 홈페이지 하단에서 내 연금(노후준비)으로 들어가시면
공인인증서 로그인을 통해 수령 예상 연금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날이 갈수록 고령화 시대가 더 빨리 다가오는 만큼 미래에 대한 준비는 필수입니다.
아래의 표는 연금 예상 수령액을 대략적으로만 확인할 수 있습니다.정확한 값은 아니니 참고용으로만 봐주시길 바랍니다.
늦기 전에 국민연금 납입기간에 따른 예상 수령액을 확인해 보고 걱정 없는 노후를 준비되시길 바랍니다.
폐가전 무료수거 (PC, 모바일)
집에서 사용하는 소형, 대형가전제품들을 버려야 할 경우가 있습니다. 폐가전을 버려야 할 때 못쓰는 걸 버리는데 비용까지 부담해야 한다고 생각하면 그 비용이 아까우실 텐데요 오늘은 폐가
inroomscholar.tistory.com
구직촉진수당 신청, 지급일
경제활동을 통해 생활비를 마련에 어려움을 덜어주고자 정부에서는 인적 자원들이 각자의 자리를 찾을 수 있도록 [국민 취업지원제도]를 운영하고 있습니다. 그 대상은 소득이 적어 구직 활동
inroomscholar.tistory.com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