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반응형
멀리 있는 가족, 친구에게 생일날 축하해주고 싶을 때 기프티콘으로 마음을 표현하는 방법은 이제 많이 알려져 있습니다. 생일뿐 아니라 기념일에도 실제 선물보다 기프티콘으로 대체되는 것이 흔해졌습니다. 다른 것보다 원하는 때에 사용할 수 있다는 큰 장점이 있고 사용법도 휴대폰 번호만 알면 간편하게 전송할 수 있습니다.
편리한 사용만큼 주의해야 할 사항이 있는데요. 기프티콘은 각각 일정한 유효기간을 가지다 보니 만료가 되어버리면 사용할 수가 없게 돼버립니다. 아까운 기프티콘 울 날려버리기 전에 사용 또는 유효기간 연장이 필요합니다.
기프티콘을 선물 받은 기간이 오래되어 유효기간을 모른다거나, 중고거래 통해 거래한 기프티콘의 사용 유무들을 기프티콘 유효기간 조회를 통해 확인해볼 수 있습니다. 오늘은 기프티콘 사용 여부 조회 방법 3가지를 소개드립니다.
[카카오톡 기프티콘]
카카오톡 로그인 후 화면 아래에 버튼을 클릭 [선물하기] 메뉴를 클릭하시면 됩니다. 메뉴에서 [선물함]을 선택하면 기프티콘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1. 미사용 선물을 한눈에 확인할 수 있으며, [받은 선물] 메뉴에 들어가 상세조회가 가능합니다. 사용 가능/ 사용완료로 구분되어 있고 해당 시점에서 사용 가능한 기프티콘의 개수와 목록이 [사용 가능] 탭에서 조회됩니다.
2. 제품 교환권이 아닌 금액형 상품권이라면, 선물 받은 금액 중 사용되지 않은 금액이 일부만 남아있다 하더라도 [사용 가능]으로 처리됩니다. 기프티콘 사용 여부를 비롯한 상세 내용은 각 기프티콘을 클릭하여 확인 가능합니다. [사용정보] 중 [쿠폰 상태]가 “사용 안 함”으로 확인되어야만 사용 이력이 없어 실제 이용이 가능한 것입니다.
[기프티콘 - gifticon]
웹사이트에서도 선물 받은 미사용 모바일 상품권의 사용 여부 조회 가능하지만 스마트폰 앱을 이용하여 확인하는 것이 편리합니다. 선물함에 있는 기프티콘 조회를 위해서는 휴대폰 번호를 통한 인증이 필요합니다.
1. 스토어에서 [기프티콘]을 검색 다운로드해주시길 바랍니다. 앱을 실행시켜 홈 화면에서 좌측 상단의 버튼을 클릭 후 인증을 진행하시면 됩니다.
2. 인증이 완료된 후 상단 탭에서 [선물함] 메뉴로 접속하면 해당 휴대폰 번호로 전송된 기프티콘이 자동으로 조회됩니다. 사용 여부를 체크하고 필요시 사용 가능 기간을 연장하 실수 있습니다.
※ 선물함에 없는 기프티콘 사용 여부를 조회하고 싶다면 하단의 [기프티콘 번호로 조회]를 선택합니다. 기프티콘 바코드에 적혀있는 12자리 숫자를 입력하고, 해당 선물을 전송받은 휴대폰 번호를 입력한 후 [조회]하면 쿠폰의 사용 여부, 내용, 유효기간 등을 확 일할수 있습니다. 최근 5년간 선물 받은 쿠폰들이 조회 가능합니다.
[ KT 기프티쇼 기프티쇼]
기프티쇼를 통해 선물 받은 기프티콘 사용 여부 조회 방법입니다. KT 키프티쇼에서는 회원 가입 없이 모바일 고객센터에서 쿠폰 조회가 가능합니다. 수신인 휴대폰 번호를 입력 본인 확인 후 쿠폰을 조회할 수 있습니다
1. 웹사이트 접속 후 홈 화면 하단에 [모바일 고객센터]를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클릭해주시길 바랍니다. 휴대폰 번호 인증이 완료되면 최근 5년 이내에 받은 기프티쇼 상품 내역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브랜드명, 상품명, 남은 유효기간 등을 목록에서 확인할 수 있고 환불이나 기간 연장을 원하는 상품이 있다면 선택하여 신청할 수 있습니다.
※ 모바일 고객센터 바로가기 https://m.giftishow.com/myzone/selfStep1.mhows
[주의 사항]
단순 이미지라도 기프트카드로서 사용이 가능하기 때문에 판매를 위해 캡처 사진을 올렸다가 바코드의 일부 또는 지우지 못한 숫자 등을 무단 도용하여 사용하는 피해가 발생하기도 합니다. 무단 사용 시 엄연한 불법이지만 추적이 어려우니 주의하여 사용하시길 바랍니다.
PASS인증서 쉽게 발급 받기
1210일부터 21년간 사용되어왔던 공인인증서가 폐지되었습니다. 공인인증서는 사용자로부터 편리하게 사용하는 것이 외에 고질적인 문제들을 가지고 있었는데요. 공인인증서가 폐지되고 , 현재
inroomscholar.tistory.com
삼쩜삼 환급, 조회 방법
한 해 동안 경제활동으로 얻은 소득에 대해 납부하는 세금이 종합소득세라고 합니다. 근로소득이나 퇴직소득, 연금소득, 이자소득, 배당소득, 임대 소득, 사업소득 등 모든 수익이 종합소득세
inroomscholar.tistory.com
반응형
댓글